급하게 도메인을 연결한 웹페이지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서, 해당 강의를 2강으로 넣었다.
이번 강의에서는 뛰어난 기술을 갖추고 있음에도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을 몰라 매출에 어려움을 겪는
미용사 사업자분을 위해, 홍보용 웹페이지를 직접 제작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먼저, 도메인을 하나 구입해보도록 하자.
도메인은 우리가 www.google.com 과 같이 이름 짓는 일이라고 보면 된다.
도메인을 구입할 때는 -- 이것은 상품이나 서비스도 마찬가지이지만 -- 제품의 형태가 도메인에 드러나는 것이 좋다.
알아두면 좋은 말 중 하나가 사업은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것을 해주는 것"이 되어야 한다.
고객이 부르기 쉽고, 이름에서 이미 제품이나 서비스의 형태가 드러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메인을 구입할 수 있는 사이트는 많다. 후이즈(whois), 가비아(gabia), 고대디(godaddy)등 다양한 사이트가 있지만,
본인은 애국시민이기 때문에 국내 가비아(https://www.gabia.com/) 를 통해 도메인을 구입해 보도록 하겠다.
가비아 (https://www.gabia.com/)
나는 sooging.hair 라는 도메인을 갖고 싶다. 이것을 검색해보고, 신청하기 버튼을 누른다.
원하는 도메인 주소를 선택하고,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 구매 절차를 거친다.
개인정보는 알아서 채우라. 개인적으로 구매할 때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1년단위로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렇게 일단 내가 갖고싶은 도메인 주소를 확보한다.
이후 sites.google.com 으로 들어가 만들기에 적합한 템플릿을 하나 찾아본다.
나는 마침 "템플릿 갤러리" 에 들어가보니 "미용실"이라는 템플릿이 있어 이것으로 사이트를 하나 만들어보도록 하겠다.
sites.google.com 접속, 템플릿 선택
나는 "미용실" 템플릿을 선택했다.
수정 가능한 페이지가 나온다.
실제로 이 누나는 네이버 지도 (https://naver.me/502RfWoY) 에서 예약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이유는 네이버 지도와 같이 많고 많은 상점들 가운데서 내 가게를 홍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웹페이지를 만드는 형식에도 제약이 걸리기 때문에, 잘 만들기가 어렵다.
대전 정수깅 미용실 - 네이버 지도 (https://naver.me/502RfWoY), 실제로 머리도 잘하고 외모도 예쁘시다. 남성 커트 전문이시니 카이스트 학생들 처럼 내가 어떤 헤어스타일이 어울리는지 모를 때 그냥 가서 "알아서 잘라주세요" 하면 된다.
나는 성격이 급한 사람이라, 뭐든지 일단 질러놓고 수습하는 성격이다.
이번 강의에서 만들고자하는 이 사이트도, 일단은 도메인 연결부터 실행시켜놓고, 웹 페이지를 수정해 나가는 걸로 해보자.
오른쪽 위 "게시" 버튼에서 왼쪽으로 두칸에 있는 설정 버튼을 눌러, "커스텀 도메인" 탭을 들어간다.
내가 사용하고자하는 도메인을 넣었더니 "확인되지 않은 도메인"이라는 문구가 나온다.
여기에 "소유권을 확인"해주세요 라는 부분을 클릭해 들어간다.
"계속" 버튼을 눌러 진행한다.
레코드 유형 선택 에서 기본으로 TXT로 되어 있는 부분을 Gabia에 적용시켜 보자.
호스트에는 www를 추가해야 한다.
확인 버튼을 눌러서 진행한다.
다음을 눌러 진행한다.
해달라는 대로 다시 Gabia에 가서 CNAME을 설정한다. (참고로 "ghs.googlehosted.com." 라고 끝에 .을 붙여줘야 한다.)
완료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연결 됨을 볼 수 있다.
이후에 현재 있는 상태를 "게시" 버튼을 눌러 공개적으로 만들면 된다.
일단은 공개되어 진행되는 페이지는 "https://sites.google.com/view/sooginghair" 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도 보이듯, 최대 48시간 이후에 "www.sooging.hair" 라는 도메인에 연결되는 식으로 프로세스가 진행될 것이다.
만약에 제대로 진행이 되지 않으면 내 이메일인 suminkaist@gmail.com에
"[AIBuildFlow] 2강 도메인 연결에서 문제가 생겨요" 라는 제목으로 이메일을 작성해서 주면 해결방법을 고민해서 알려드리겠다.
Google Analytics를 이용하면 어떤 페이지에 사람들이 더 오래 머무르고, 어떤 클릭을 수행하는지 등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떠한 글에 대한 반응이 사람들이 더 좋은지 등을 반영하여, 더 발전된 웹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왼쪽 아래에 설정 버튼을 누르고, "+ 만들기" 에서 "계정" 버튼을 누른다.
이후 가입하기 창이 뜨면 계정 이름(나는 개인적으로 도메인 이름인 sooging.hair를 그대로 쓴다) 을 쓴다.
이후 아래쪽에 "다음" 버튼을 눌러 진행한다.
다음 순차적으로 속성 만들기를 진행한다.
이후 "비즈니스 세부정보"를 입력한다.
비즈니스 목표 선택을 클릭하고 "만들기"를 클릭한다.
약관에 동의한다. (공식 약관 원문 보기)
데이터 수집 시작하기 창에서는 "웹"을 클릭한다.
웹사이트 URL, 스트림 이름을 입력하고, "만들고 계속하기"를 클릭한다.
이후 클릭해서 보면 측정 ID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측정 아이디를 "설정 > 분석" 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추적 또는 측정 ID로 입력한다. 그리고 닫기를 하면 자동 추적이 이루어 질 것이다.
(보통 하루 정도가 지나야 통계치가 잡히기 시작하니 넉넉하게 기다리자.
Favicon이란 favorite icon이라는 뜻으로, 로고로 쓸 아이콘을 의미한다.
나는 주로 초기 프로토타입 때는 https://favicon.io/favicon-generator/ 에 들어가 텍스트로부터 아이콘을 생성한다.
사이트의 로고가 업데이트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QR코드 생성의 경우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https://www.sooging.hair/ 의 도메인에 맞게 QR코드 이미지를 만드는 Python 코드를 만들어줘."
이후 생성된 파이썬 코드를 이용해 실행하면, 만들어진 파일로 QR코드를 대신할 수 있다. (온라인에 qr.io 나 qrfy.com 과 같은 QR코드 생성 프로그램이 있으나, 이들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요금을 요구하는 등 사실상 무료로 작동하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위 구글Site 템플릿으로 부터 실제 마케팅용 웹페이지로 꾸며내는 부분은 다음 강의에서 다루도록 한다.
2강 끝.